무월경
정상적인 월경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자궁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만약 이들 중 한 곳이라도 이상이 생기면 무월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임기 여성은 주로 임신, 수유, 조기폐경 등 생리적인 원인으로 무월경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외에는 병적인 것으로 월경이 6개월 이상 없는 상태입니다. 무월경은 조기폐경이나 자궁내막암의 신호일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여 원인 진단이 필요합니다.
일차성 무월경
2차 성징의 발현이 없으면서 초경이 14세까지 없는 경우, 또는 정상적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16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난소에 이상이 있는 경우
2. 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경우
3. 처녀막 폐쇄나 선천적 무자궁 내막 등이 경우
이차성 무월경
정상적인 생리를 하던 여성이 평소 월경주기의 3배의 기간 또는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1. 갑작스런 환경 변화나 운동과 스트레스로 인한 경우
2. 조기폐경이 된 경우
3. 다낭성난소증후구인으로 인한 무배란증
4. 골반결핵이나 여러 번의 소파수술로 자궁 유착이 생긴 경우
무월경의 경우 황체호르몬의 투여로 월경을 유발시켜 봅니다.
투여 후 보통 3~4일 내에 월경이 시작되며, 늦어도 대개 7~10일 내에 시작됩니다.